알리바바는 최근 세계에서 가장 큰 면세점의 10% 지분 인수에 합의했다. 알리바바(BABA)가 스위스 면세 유통업체 두프리의 지분 10%까지 사들일 것이라는 소식이 21일 전해졌다. 7억 6천 3백만 달러의 가치가 있는 이 거래는 타이밍이 잘 맞고 양측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정말 꾸준하게 알리바바는 계속해서 인상적인 매출과 수익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지표에 따라 합리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두프리는 알리바바의 결제서비스에서 혜택을 볼 수 있지만 알리바바는 중국 유통시장을 괴롭히는 값싼 가격 인하를 피해며 진정한 면세상품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알리바바의 최근 행보와(PPE 제공 전용 플랫폼 신설)과 향후 IPO 앤트파이낸셜과의 관계에서 알리바바 브랜드를 더욱 강화할 또 다른 좋은 움직임으로 보인다.
전망
다들 아시겠지만, 알리바바는 2019년 6억7400만 명 - 7억4200만 명의 고객을 확보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알리바바는 전자상거래에 대한 지속적인 세계적 추세를 이용할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인 중국에 노출되어 있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13.3%의 CAGR로 성장해 2023년 미화 2조6000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60% 이상의 지분을 가진 알리바바는 그 성장으로 이익을 얻기에 완벽한 위치에 있다.
영업 이익
알리바바는 2013년 70% 이상에서 지난 8년간 크게 감소한 44.5%의 합리적인 총 마진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 회사가 새로운 벤처에 투자하고 8,000억 달러 규모의 회사로 성숙했기 때문에 이러한 감소는 부분적으로 예상된다.
전자상거래와 디지털 서비스의 중개자로서 알리바바는 다른 사업들을 괴롭히는 높은 운영비를 가지고 있지 않다
History, 경영, 사회적 가치
알리바바는 몇 년 동안 인상적인 성장을 해왔고 매출과 수익 둘 다 30% 이상 성장해 왔다. 2010년 이후 매년 매출을 늘렸고 최근 9년 중 7년 만에 EBITDA를 늘렸다. 이렇게 실적이 좋은 회사는 많지 않다.
경영진도 최근 두프리 딜이 또 다른 사례로 좋은 의사결정을 한 이력이 있다.
더욱이 코로나바이러스 대처와 수요가 높은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노력으로 사회적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재정
알리바바는 현재 31배의 수익 또는 36배의 EBITDA의 풍부한 배수로 거래되고 있다. 이것은 특히 이런 규모의 회사에게는 비싼 배수다.
하지만 알리바바는 최근 5년간 매출과 EBITDA를 연평균 40% 이상 성장시켰다.
현재의 배수량도 역사적 평균과 비교할 때 제자리에 있지 않다. 실제로 BABA는 지난 2014년 EBITDA의 45배 이상 주식 거래가 있었던 등 과거보다 높은 배수로 거래됐다.
MOAT(경제적 성벽)
알리바바는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 사업자로서 상당한 가격결정력을 가진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2020년 중국에서 온라인 소비자 거래 비중이 60%를 넘는 독과점적 특징도 갖고 있다. 알리바바는 B2B, 결제,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해 독점을 더욱 확대하고 네트워크 혜택도 제공한다.
위험 요소들
눈에 띄는 위험은 이 회사가 전형적인 위험을 모두 안고 있는 중국 회사라는 것이다. 그것 만으로 위험요소이다. 중국 기업들은 재무보고가 덜 엄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현 미국 행정부는 중국 기업을 상장폐지하겠다고 위협하고 있다.
비록 이것이 문제가 되겠지만, 정말 개인적으로는 홍콩으로 보유 자산을 이전할 수 있고 매각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미국의 상장폐지에 따른 가격하락은 일시적이고 구매기회일 것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바이든 행정부는 이 위험을 거의 없앨 것이다.
중국 정부가 알리바바의 시장점유율을 압박하는 독점금지법을 부과하는 것도 위험 요소다. 이러한 법은 퀄컴에 대해 이전에 통과되었고 지난 1월 금융 매체에서 마지막으로 언급되었다.
알리바바는 또한 사업 부문과 국가 간 상당한 확장을 통해 미래 성장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도에 대한 해외 투자는 향후 상당한 비용 부담이 될 수 있으며 신중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알리바바 주주들이 앞으로 나아갈 가장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이 회사는 최신 연례 자료의 위험 요소 섹션에서 읽을 수 있는 많은 다른 위험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회사의 규모와 성질을 고려할 때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지만 나는 대부분의 위험을 성격상 단기적인 것으로 본다. 알리바바가 글로벌 생태계에 고착화된 것을 바라보는 장기적인 궤적을 바꾸려면 많은 것이 필요할 것이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NNDM,Nano Dimension] 나노디멘션 전자 3D 프린팅 시장 파괴? (0) | 2021.01.05 |
---|---|
[동남아시아 아마존] 씨그룹,Sea Limited(NYSE:SE) 강한 성장세와 위험요소들 (0) | 2020.10.19 |
3대 음반회사 워너뮤직그룹(WMG) 생각보다 타격이 크다. 3분기 전망. (0) | 2020.09.20 |
플러그파워 Andy Marsh CEO 인터뷰 기록(20.08.08.) (0) | 2020.09.19 |
유럽의 버크셔해서웨이, 내스퍼스(네스퍼스,프로수스,PROSY) (0) | 2020.09.17 |
댓글